본문 바로가기

맨큐의 경제학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10 Principles of Economics) (2) 이전 글에 이어서,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를 설명한다.    6. 일반적으로 시장이 경제활동을 조직하는 좋은 수단이다.- Markets Are Usually a Good Way to Organize Economic Activity '시장경제(market economy)'가 과거에 존재했던 중앙집권적 계획경제 체제보다 더 좋다는 말이다.이는 역사적 경험을 통해 입증된 사실이다. 공산주의에서는 시장의 가격이 정부의 담당자들에 의해 결정되었다.수요가 높든 낮든, 충분한 정보가 없이 시장의 가격을 한 쪽의 시야에서 일률적으로 결정을 하게 되니까시장은 수요와 공급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었고, 이는 체제의 붕괴를 이끌었다.  시장경제를 설명하기 위해서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에서는 '보이지 않는 손'의 개념이 등장한.. 더보기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10 Principles of Economics) (1) 사회의 모든 자원에는 '희소성'이 존재한다. 희소성(scarcity)이란, 사회의 자원은 수량이 한정되어 있다는 뜻이다.때문에 사람들은 각자가 원하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할 수 없으며, 어떤 항목을 생산할지 결정을 내려야 한다. 경제학은 이처럼 '사회가 어떻게 희소한 자원을 관리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모두에게 만 원이 주어진다면 누군가는 당장 빵을 사먹을 것이고, 누군가는 내일을 위해 절반을 저축할 것이며, 누군가는 높은 수익성을 바라고 투자를 할 수도 있다.경제학자들은 사람들이 어떻게(How) 이러한 결정을 내렸는지-를 관찰한다.  경제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맨큐의 경제학에서는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를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1.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있다.2. 선택의 대가는 그것을 얻기 .. 더보기